RightsCon Silicon Valley 2016 참가 후기

by | May 17, 2016 | 국제세미나, 망중립성, 오픈블로그, 표현의 자유, 프라이버시, 혁신과 규제 | 0 comments

라이츠콘2016

RightsCon Silicon Valley 2016 참가 후기

2015년 3월 30일 – 4월 1일 / 샌프란시스코, 미국

 


○ 3월 30일 수요일(Day 1)

 

참여세션 1: 잊힐 권리: 표현의 자유를 상기하며(The Right to be Forgotten: Remembering Freedom of Expression)

세션 소개

– 발표자: 박경신 이사

– 발표 내용:
K.S. Park expressed concern that the RTBF ‘movement’s is harming free speech around the world because, for instance, it is reinforcing and rationalizing the pre-existing bad laws in South Korea.  He said that the relevance-based RTBF rule is fundamentally irreconcilable with freedom of speech because it is anti-pluralistic i.e., it shrinks the infinite potential value of a piece of information to the spectrum permitted by the majoritarian, or average thinking of a given society, cutting off the value that people on the margins may find in that information.  He also said that the philosophy of RTBF is about tolerance, e.g., combatting unreasonable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based on their past wrongs.  RTBF is not good for frank discussions on tolerance, e.g., a pastor who made a sexist remark during his sermon and wants to be “forgotten” about it.  We should combat discrimination, not information.

He also said that RTBF is not about anonymity.  Anonymity protects what has been kept away from people by the data subject: their identities.  RTBF deals with identity that has been voluntarily revealed by the data subjects.  Forced coming-out can also be comfortably dealt with traditional notions of privacy.

박경신 이사, “‘One Owns Data about Oneself,’ Myth? Metaphor? Rule?: Implications for RTBF” 참조

 

참여세션 2: 서비스 약관의 인권 기준 준수 정도 평가하기(Assessing Terms of Service Compliance with Human Rights Standards)

세션 소개

– 발표자: 박경신 이사

– 발표 내용:
K.S., as one of the authors of the case studies recommended the following users rights to be contractually included in the terms and conditions of intermediaries: (1) right to be notified of a data breach/disclosure whether for surveillance or not,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frustrate the purpose of surveillance, unless silence is specifically required by law (e.g, court order); (2) right to be notified of any content restriction (currently, only 52% of T/Cs has that. the Colombia representative agreed that counter-notices to content takedowns are low because of a short timeline and affect the users’ ability to post in other places; (3) right not to be taken down postings unless it violates published criteria, which of course must be made the running annex to T/C; (4) right to remain anonymous unless required otherwise due to the purpose of the website (surprised that 30% of platforms do not allow anonymous login!!!); (5) right to arbitration in case of disputes for it is generally cheaper, more efficient for people around the world can file claims.

K.S. Park noted that platforms and citizens have much in common in guaranteeing freedom but telcos have greater responsibility when it comes to surveillance, or access to data because citizens do not have any choice but to use the domestic telcos.

 

참여세션 3: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뛰어 넘어: 민간 영역에서의 강력한 인권 실천도 제고 방안(Beyond CSR: Promoting Strong Human Rights Performance in the Private Sector)

세션 소개

– 발표자: 박경신 이사

– 발표 내용:
CSR is very important in Internet policy-making especially in Korea, there is a phenomenon of  “constitutional laundering” whereby three overbroad regulations set up government censorship and surveillance requests as optional for the companies and yet create the same effect as mandatory laws because the companies respond to the optional requests by the government and private parties religiously as if they are mandatory orders.  Due to the optional nature, such regulation cannot be subject to constitutional challenge, and for being optional i.e., permissive to the companies, the companies cannot be held liable.  The result is about 10 million unmasking of users /500k privately-initiated takedowns / 200K government-initiated takedowns each year. He pointed out that telcos and platforms responded differently to the constitutional laundering in at least one area:  warrantless unmasking of user identities.  Platforms stopped complying with the optional data requests when faced with a slew of lawsuits from consumers while the telcos continued to comply.

K.S. mentioned that there must be more antirust dimension as to CSR because the reason the telcos comply so willingly in Korea is because the fact that (1) the users cannot choose a telco outside the country and (2) a small number of telcos makes it easy for them to form a cartel.  For instance, the 3 telcos engage in completely synchronized parallel behavior on privacy policies, and there is no such competition to provide a better privacy-protected service.

 

참여세션 4: 기업 참여를 위한 증거기반연구와 운동전략: 사례와 교훈(Evidence Based Research and Advocacy Strategies for Engaging Companies: Cases and Lessons)

세션 소개

– 발표자: 김가연 변호사

– 발표 내용: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MOIBA)가 개발하고 보급한 청소년 유해매체물 차단 앱인 스마트보안관이 폐기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시티즌랩의 협력을 이끌어 낸 배경과 시티즌랩의 스마트보안관 감사보고서를 국내 활동의 동력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할 수 있었던 방법에  대해 발표

발표 스크립트

– 발표 자료(Smart Sheriff.pdf)

 

참여세션 5: 라이트닝 토크: 온라인 행정검열은 필요악인가?(Lightning Talks: Administrative Censorship Online: Necessary Evil?)

세션 소개

– 발표자: 손지원 변호사

– 발표 내용:
온라인 콘텐츠(인터넷상 정보)에 대하여 각국의 행정기관이 내용을 검열하고 삭제, 차단하는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행정검열’의 문제에 대하여, 한국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통신심의 제도의 운용 현황에 비추어 설명함. 한국의 통신심의 제도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 하여금 ‘불법’ 정보뿐만 아니라, 여러 모호한 기준으로 ‘유해’ 정보까지 광범위하게 심의할 수 있게 하고 있고, 이로써 정부로부터 영향을 받는 행정기관이 이러한 추상적 기준을 이용하여 정부와 반대되는 온라인상의 여론을 차단하는 데에 행정검열이 남용될 위험성에 대하여 몇 가지 기존 심의 사례들을 들며 설명함. 끝으로 이러한 인터넷 행정 검열의 제도화 움직임이 국제 사회에 퍼지지 않도록 시민사회와 학계 등 이해관계자들이 비판적 논의를 지속해야 함을 강변함. 발제가 끝난 뒤 많은 청취자들이 ‘한국의 온라인 검열 실태가 이렇게 심각한 줄 몰랐다’는 의견을 전달함

– 발표 자료(Administrative Censorship Online.pdf)

 

참여세션 6: 망중립성 원칙과 예외(Net Neutrality Principles and Exceptions)

세션 소개

– 발표자: 박지환 변호사

– 발표 내용:

 

 


○ 3월 31일 목요일(Day 2)

 

오픈넷 주최세션: 프라이버시, 익명성, 그리고 영장 없는 통신자료 제공(Privacy, Anonymity, and Warrantless Access to Subscriber Identification Data)

 

세션 소개

– 좌장: 박경신 이사

– 발표자: 김가연 변호사

– 발표 내용:

한국의 전기통신사업법 제83조 제3항 상의 통신자료 제공 제도와 제공 건수 급증 현상 등 한국의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수사기관이 이용자 정보를 가져갈 때에는 영장을 요구할 것을 권고한 2015년 UN 자유권위원회 제4차 한국 심의 최종 견해를 소개

발표 스크립트

 

참여세션 1: 온라인 혐오표현: 인식와 전략(Online Hate Speech: Identification and Strategies)

세션 소개

– 발표자: 박경신 이사

– 발표 내용:
The most efficient way of dealing with hate speech is building “a wall of ignorance”, the type built by the residents of a German town where neo-Nazis marched.  Much of global media that covered Pastor John Terry’s burning of Quoran in Florida reflected on their coverage and how it caused the violent religious protests on the other side of the earth, causing murderous feuds between factions within the Middle East. German newspapers cover neo-Nazi rallies by featuring the photos of counter-rallies. The challenge is how to build that wall without running into the problem of balkanizing the Internet.

 

참여세션 2: 보고와 그 이후: 기업과 정부의 투명성이 온라인 인권을 위해 필수적인 이유(Reporting and beyond: why company and government transparency is essential for human rights online)

세션 소개

– 발표자: 손지원 변호사

– 발표 내용:
2015년 발간한 한국 인터넷 투명성 보고서의 개요와 인터넷, 검열, 감시 부분에 있어 한국 정부의 투명성 정도 등에 대하여 설명함. 한국은 미래부가 국내 통신사업자들로부터 통신 감시 현황에 대한 수치를 보고받아 이를 공개하는 등 다른 나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현황 파악이 쉬우나, 주력 수단으로 보이는 압수수색 수치가 공개되지 않고 있는 점, 총 수치 공개에 그쳐 질적 판단이 어려운 점 등을 개선 사항으로 지적. 또한 수사 활동 방해, 통계 자료 미보유 등의 이유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공개는 거부하고 있어 국가 스스로 더 나은 수준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은 기대하기 힘들며, 궁극적으로 입법을 통해 의무화하여야 할 문제라고 설명함. 입법을 위해서는 국민적인 콘센서스를 확보하여야 하고, 투명성보고서는 이 지점에서 국민적 관심과 요구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여야 하는데, 단순하게 수치를 분석하는 것만으로는 큰 반향을 얻기 힘들며, 개별적인 문제 사안을 찾아내고 공개하는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역설. 투명성보고서가 학술적인 자료에 그칠 것이 아니라 대중 친화적인 자료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토론자들의 중론이었음

 

참여세션 3: 협업을 통한 해법 찾기: 대리 검열 – 정보매개자에게 인터넷 정화 책임 지우기(Finding Solutions Through Collaboration: Censorship by Proxy – Making intermediaries Liable for Internet Cleanse)

세션 소개

– 발표자: 박경신 이사

– 발표 내용:
There was a bit of debate upon whether the significance of Shreya Singhal case.  K.S. believes that it is a departure progressing beyond the established regime of intermediary liability safe harbor because normally safe harbors are secured by responding to private takedown notices but the Singhal court ruled that only court judgments are worth responding to in qualifying for the safe harbor.  Mishi argued that, the current notice-and-takedown already has a sufficient censorial effect of encouraging the intermediaries to take down all (including fully lawful) postings whenever someone complains of reputational or privacy.

 

비공개회의: UN 표현의자유 특별보고관 David Kaye 간담회

– 참석자: 김가연 변호사

 


○ 4월 1일 금요일(Day 3)

 

참여세션 1: 정보매개자는 누구인가? 다양한 정의의 조정(Who is an Intermediary? Harmonizing multiple definitions)

세션 소개

– 발표자: 박경신 이사

– 발표 내용:
K.S. said that the definition of intermediaries can be varying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for which the definition is sought.  Usually, why do we need to define intermediaries?  Intermediaries voluntarily create space in which people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on massive scales and therefore they must be protected from ‘general monitoring’ obligations or liability for unknown material.  In this case, the definition of intermediaries should be limited to the ones allowing the users to post content without being vetted by the hosts.

 

참여세션 2: 정보매개자 책임에 관한 마닐라 원칙: 1년 후(Manila Principles: One Year Later)

세션 소개

– 발표자: 김가연 변호사

– 발표 내용:
2015년 RightsCon에서 발표된 “정보매개자의 책임에 관한 마닐라원칙”의 1주년을 기념하는 세션으로, 오픈넷이 국제적 흐름에 어긋나는 한국의 정보매개자 책임 제도 개선을 위해 마닐라 원칙을 어떻게 홍보하고 활용했는지에 대해 발표

– 발표 자료(Manila Principles.pdf)

 

참여세션 3: 국외 정보 요청(Cross Border Data Requests)

세션 소개

– 발표자: 박경신 이사

– 발표 내용:
박경신 이사, “Costs and Benefits of MLA Bypass Reform” 참조

 

비공개회의: 공익소송 전략(Public Interest Litigation)

– 주최: AccessNow, MLDI

– 참석자: 박경신 이사, 김가연 변호사

 

0 Comments

Submit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최신 글